N e w s

협회 소식

2024년 만화분야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 결과 발표

2024.05.27

'2024년 만화분야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총 37명(42건)의 지원자 중 아래와 같이 '2024년 만화분야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 결과'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구 분

성 명

응모분야

아이디어

대 상

X

산 업

웹툰 1화의 댓글 내용과 이용자의 지속적 소비 간의 상관관계 선발대댓글 내용과 요소를 중심으로

최우수상

X

독자 문화경험

색맹과 색약자를 위한 딥러닝을 통한 웹툰 가독성을 높이는 방안 연구

우수상

X

산 업

독립(개인)연재산업의 발전과 방향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X

작 가

만화·웹툰 종사자 노동환경 실태조사

X

산 업

웹툰 플랫폼의 엔시티피케이션 현상

X

기 타

점자 만화에 대한 지속적 개발 및 확대로 건강한 만화 생태계구축

X, X

작 품

한국 만화 생태계의 다양성 증진을 위한 새로운 분업화 시스템 연구

X

독자 문화경험

웹툰 소비자의 문화취향과 사회적 관계망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_웹툰 장르 소비의 계층화 양상을 파악_장르 선호를 중심으로 소비자 유형화

 

 

협회 내외부 심사위원 분들께서는 주제의 참신성, 연구 결과의 기여도, 당대 필요성, 실현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아이디어를 결정하였습니다.

지원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선정된 분께는 안내를 개별적으로 드릴 예정입니다.  

 

아래는 심사에 대한 심사위원장님의 총평 입니다.

 


‘2024년 만화분야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 총평



올해 처음으로 시작한 ‘2024년 만화분야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전’의 수상작을 선정했습니다. 신진 연구자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확인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실제 연구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독려하기 위한 이번 공모전에서 총 42건의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창작 공모전 일색인 만화 분야에서 새롭게 시도한 ‘연구 아이디어 공모전’인 점과 사전 고지 없이 한 달가량의 단기간 내에 축적된 성과라는 점에서 상당히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심사위원단은 사전 평가와 현장 논의를 통해 <웹툰 1화의 댓글 내용과 이용자의 지속적 소비간 상관관계>, <색맹과 색약 자를 위한 딥러닝을 통한 웹툰 가독성을 높이는 방안 연구>, <독립(개인) 연재 산업의 발전과 방향> 총 3편을 최종 선정하였습니다. 


심사위원단 만장일치로 선정한 수상작의 선정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대상 <웹툰 1화의 댓글 내용과 이용자의 지속적 소비간 상관관계>

 : 웹툰 독자의 커뮤니티성과 독자들의 역할을 규명할 수 있는 기초 아이디어인 점을 높이 평가함

2. 최우상 <색맹과 색약 자를 위한 딥러닝을 통한 웹툰 가독성을 높이는 방안 연구> 

: 웹툰의 ‘배리어프리’ 가능성을 짚어보는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3. 우수상 <독립(개인) 연재 산업의 발전과 방향> 

: 인스타그램 등 개인 작가의 연재 채널 사례를 연구, 개인 작가의 다채널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선정된 아이디어는 만화문화연구소의 자문을 거쳐, 보다 날카로운 문제의식과 실질적인 연구방법을 모색하게 됩니다. 가능하다면 아이디어 제안자가 직접 연구하거나 전문 연구자가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연구할 수도 있으며, 그 성과는 올해 말 열린만화 포럼에서 최종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번 공모전을 통해 분야별로 다양하고 흥미로운 아이디어들을 만날 수 있어 심사과정이 굉장히 즐거웠습니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만화 역사 분야 연구에 대한 관심이 다소 낮았던 것과 연구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 실제 연구로 이어지기 어려운 아이디어들이 눈에 띄었던 점입니다. 하지만 아이디어만으로 충분한 의미와 가치를 전달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추가로 5개의 주제를 선정하여 소정의 선물을 보내드리기로 하였습니다. 끝으로, 제안 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리며 올해의 경험을 바탕으로 내년에는 좀 더 발전된 공모전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심사위원장 이재민(만화문화연구소 소장)